목차
유클리드 호제법 (Euclidean Algorithm)
: 두 자연수의 최대공약수를 구하는 알고리즘. 이때 호제법이란 두 수가 서로 상대방 수를 나누어서 결국 원하는 수를 얻는 알고리즘을 뜻한다.
--> 두 자연수 a, b에 대해서 a를 b로 나눈 나머지를 r이라 하면(단, a > b) a와 b의 최대공약수는 b와 r의 최대공약수와 같다. 이 성질에 따라 b를 r로 나눈 나머지 r'를 구하고, 다시 r을 r'로 나눈 나머지를 구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나머지가 0이 되었을 때 나누는 수가 a와 b의 최대공약수이다.
- 반복문을 활용한 코드 (C#)
// a > b
int GCD(int a, int b)
{
while (b != 0)
{
int temp = a % b;
a = b;
b = temp;
}
return a;
}
- 재귀함수를 활용한 코드 (C#)
// a > b
int GCD(int a, int b)
{
if (b == 0)
return a;
return GCD(b, a % b);
}
※ 참고 문서 - 위키백과
유클리드 호제법 - 위키백과,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
위키백과,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. 유클리드 호제법(-互除法, Euclidean algorithm) 또는 유클리드 알고리즘은 2개의 자연수 또는 정식(整式)의 최대공약수를 구하는 알고리즘의 하나이다. 호제법이란
ko.wikipedia.org
최대공약수(GCD)를 활용하여 최소공배수(LCM) 구하기
: 최소공배수(Least Common Multiple)는 최대공약수(Greatest Common Divisor)를 활용하여 아래 식으로 바로 구할 수 있다.
→ 최소공배수 = 두 자연수의 곱 / 최대공약수
'Development > Knowledg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자료구조 (0) | 2025.11.15 |
|---|---|
| 소수 판별 함수 만들기 (0) | 2025.11.11 |
| 정렬 알고리즘 (0) | 2025.10.27 |